기내 반입 보조배터리 용량 제한 (2025년 최신 기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와 각국 항공사들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위험성 때문에 기내 반입 가능한 보조배터리의 용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대부분의 항공사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100Wh(와트시) 이하:
-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합니다.
- 스마트폰, 태블릿, 소형 전자기기용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이 범위에 속합니다.
100Wh 초과 ~ 160Wh 이하:
- 항공사 승인 필요 (탑승 전 항공사에 문의 필수)
- 개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전문가용 장비(카메라, 드론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여기에 포함됨
160Wh 초과:
- 기내 반입 및 위탁수하물 모두 금지
- 항공 화물로 운송해야 하며, 사전에 항공사와 협의 필요
Wh 계산법: 배터리 용량(밀리암페어시, mAh) × 전압(V) ÷ 1000 = Wh
예: 20,000mAh × 3.7V ÷ 1000 = 74Wh → 기내 반입 가능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시 주의사항
보조배터리는 화재 위험 때문에 위탁수하물(화물칸)에 넣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기내 반입해야 하며,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합니다.
- 배터리 보호 필수: 금속과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를 붙이거나 전용 케이스 사용
- 과다 충전/방전된 배터리는 반입 금지: 부풀어 오르거나 손상된 배터리는 반입 불가
- 보조배터리 개수 제한: 100Wh 이하 배터리는 개수 제한 없음, 100Wh~160Wh 배터리는 2개까지 반입 가능
- 보안 검색 시 별도로 제출: 보조배터리는 가방에서 꺼내 X-ray 검사를 받아야 함
- 기내에서 사용 시 유의점: 좌석의 USB 포트 이용 권장, 충전 중 높은 열이 발생하면 즉시 사용 중단
주요 국가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비교 (2025년)
보조배터리 규정은 국제기준을 따르지만, 일부 국가 및 항공사는 추가적인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
국가/항공사 | 100Wh 이하 | 100Wh~160Wh | 160Wh 초과 | 추가 규정 |
---|---|---|---|---|
대한항공 | O (개수 제한 없음) | O (2개까지 허용, 승인 필요) | X | - |
아시아나항공 | O (개수 제한 없음) | O (2개까지 허용, 승인 필요) | X | - |
미국 (FAA) | O (개수 제한 없음) | O (2개까지 허용, 승인 필요) | X | - |
유럽 (EASA) | O (개수 제한 없음) | O (2개까지 허용, 승인 필요) | X | 일부 항공사 개수 제한 있음 |
일본 (ANA/JAL) | O (개수 제한 없음) | O (2개까지 허용, 승인 필요) | X | - |
중국 (CAAC) | O (개수 제한 없음) | X | X | 100Wh 초과 배터리 반입 금지 |
🚨 중국 항공사(CAAC)는 100Wh 초과 배터리 반입을 엄격히 금지하므로, 중국을 경유하는 경우 반드시 용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체크리스트
- 100Wh 이하인지 확인 (가능하면 160Wh 초과 제품은 소지 금지)
- 배터리를 가방에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보관
- 보호 케이스 또는 절연 테이프 사용
- 손상된 배터리는 반입 불가
- 보조배터리를 위탁수하물에 넣지 않기
- 중국 항공사 이용 시 100Wh 초과 제품 반입 불가
결론
2025년에도 기내 반입 가능한 보조배터리의 용량과 개수는 국제 규정을 따르고 있습니다. 100Wh 이하의 배터리는 자유롭게 반입 가능하지만, 100Wh~160Wh 배터리는 항공사의 승인이 필요하며 최대 2개까지 반입할 수 있습니다. 160Wh를 초과하는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불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위탁수하물에 배터리를 넣으면 안 되며, 보안검색 시 따로 꺼내야 합니다. 항공사 및 국가별 차이를 확인하고, 안전하게 보조배터리를 반입하여 여행을 준비하세요!
2025년 최신 항공법에 따라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 규정이 일부 변경되었습니다. 보조배터리 용량 제한, 개수 제한, 보안검색 시 주의사항 등 최신 법규를 정리하여 여행자들이 문제없이 보조배터리를 기내에 반입할 수 있도록 안내해드렸습니다.